본문 바로가기
건축가들의 이야기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건축가들의 이야기] #1. 로버트 벤추리

by preciousuni_space 2020. 5. 21.

안녕하세요 소공녀입니다.

 

건축, 공간 디자인을 전공한 저는 졸업 직전인 지금까지도 실내건축기사를 준비하며 건축학 관련 공부에 한창입니다.

그중에서도, 가구, 디자인 원리, 색채학을 공부하며 제가 이전에 공부했던 건축가들에 대해 많이 배우고 알아가는 중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건축가 중 한 분인 로버트 벤추리로 첫 번째 이야기를 시작해보려 합니다!!

 

LET'S GO!

 

 

☞프리츠커 건축상 (Pritzker Architecture Prize)이란?

 

매년 하얏트 재단이 "건축 예술을 통해 재능과 비전, 책임의 뛰어난 결합을 보여주어 사람들과 건축 환경에 일관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한 생존한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상입니다. 1979년 제이 프리츠커(Jay A.Pritzker)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현재 세계 최고의 건축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프리커츠 상 수상자 선정과정이 노벨상과 유사하므로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립니다.


첫 번째 주인공

로버트 벤추리 ROBERT VENTURI

 

"규칙을 깨기 전에 먼저 규범을 참조해야 한다.“

 

  • 출생 : 1925625,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사망 : 2018918
  • 교육 : 미술 석사, 건축 학사, 프린스턴 대학교, 뉴저지 주 프린스턴, 1950, 1947
  • 주요 프로젝트 : 앤 리안 의학연구 및 교육 센터, 예일 대학교 의과 대학, 코네티컷 주 뉴헤이븐, 2003; 시애틀 미술관, 워싱턴주, 1991; 내셔널 갤러리 세인스베리 윙, 런던, 1991; 고든 우 홀, 프린스턴 대학교 버틀러 컬리지, 뉴저지 주, 1983; 최상품 카탈로그 전시장, 펜실베이니아주 랭혼, 1978; 바나 벤투리 하우스,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트넛 힐, 1964

 


대표작 #1

"바나 벤추리 하우스"

체스트넛 힐 1964

 

"나는 집의 상징적 이미지인 박공벽이라는 아이디어를 되살렸다.“

 

대학교 1학년 첫 수업 때 접했던 바나 벤추리 하우스는 저에게 새롭게 다가왔던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전에 배운 건축물과는 다른 독특한 양식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팀원과 조를 이뤄 평면부터 모델링을 아우르는 과제를 진행하며 난감한 평면에 모델링을 할 때 조금 괴로웠던 기억이 납니다. 사실 집이라고 하기에는 저에겐 처음 공장 같은 느낌을 주었습니다. 기묘하기도 하고 멋스러운 것 같다가도 단순한 느낌도 들고 여러 가지 감정이 드는 집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벤추리 하우스에도 큰 뜻이 있었습니다. 로버트 벤추리는 자신의 어머니를 위해 이 집을 짓게 되었고 당시 모더니즘 운동에 대한 불만족을 표현하기 위해 처음으로 건축적 표현을 추구하였습니다. 벤추리가 언급한 현대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을 표현한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벤추리 하우스는 벤추리가 설계한 최초의 주택으로 '어린아이가 스케치북에 그린 집'과 같은 인상을 준다고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전체 외관은 밝은 녹색이고 경사진 지붕과 대조적으로 내부의 벽은 직선으로 곧게 처리되어 있습니다. 또한 커다란 박공에 가운데 갈라진 틈, 굴뚝과의 조형적인 어우러짐, 대부분 대칭으로 이루어진 정면에 미묘하게 대칭을 벗어난 창의 배열 등 의미 있고 재미있는 디테일로 단순한 외관을 좀 더 다채롭게 보이도록 구성되어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우리 어머니의 집이 어린아이가 그린 집 그림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주거의 기본적인 요소들, 박공지붕, 굴뚝, , 창문만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그런 생각이 좋다. 기본적 요소, 집의 정수를 갖추고 있으면 그만 아닌가. - 피터 아널, 테드 빅 퍼드, 캐서린 버가트 편, 캄피돌리오로부터의 관점: 에세이 선집 1953-1984 로버트 벤투리와 데니스 스콧 브라운,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하퍼스 앤드 로우, 1984

 

어머니는 그 집을 좋아하셨다. 처음에 어머니는 식당의 대리석 바닥이 너무 사치스럽다고 생각하셨지만, 그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셨다. 어머니는 홀로 사시는 미망인이셨고 잘생긴 젊은 건축가들에게 그 집을 보여주는 것을 즐기셨다. 어머니는 그들을 식당 테이블 앞에 앉히시고 버나드 쇼에 관해서 이야기하시곤 했다. 나는 그것이 그들이 내는 입장료라고 생각했다. - 프레더릭 슈워츠 편, 어머니의 집: 체스트넛 힐에 있는 바나 벤투리 하우스의 진화, 뉴욕: 리졸리, 1992

 

 


대표작 #2

"내셔널 갤러리 세인스베리 윙(Wing)"

런던 1991

 

"우리 건축 역시 모든 종류의 프로그램을 수용해야 한다. 공회당이나 슈퍼마켓, 고전적이든 세르비아- 크로아티아풍이든.“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에 들어서면, 웅장한 '내셔널 갤러리'를 볼 수 있습니다. 대략 2300여 점의 회화들을 보유한 내셔널 갤러리는 1833년 지어진 후, 꾸준히 확장을 하였고 19917월 개관을 한 세인즈베리 관이 로버트 벤츄리에 의해 구성되었습니다. 비평가들은 오랫동안 벤투리가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 첨가한 건물이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찬가냐 아니냐를 놓고 토론을 벌였지만, 벤투리는 예술가들이 그들의 작품을 전시하고 싶어 하는 건물로서의 이 건물의 중요성을 주장했습니다.

 

벤추리는 내셔널 갤러리를 구성하고 있는 옛 건물들과 대비시키기 위해서 사각형의 커다란 입구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그는 많은 곳에 창문을 만들어 방문객들이 미술작품을 즐김 과 동시에 바깥세상과도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미술관을 중심가라는 그 위치와 교훈적, 지역사회적 프로그램이라는 미적, 서정적-장식적 측면을 고려해가면서 설계해야 했던 우리는 확립된 전통 안에서 작업을 할 수밖에 없었다. 나는 이 건물에 평범한 사람들이 즉각적으로 매력을 느끼도록 하기 위해서 색과 리듬을 통해 감각에 직접 호소하려고 했다. 하지만 이 건물은 순진한 사람들, 아이들에게만 매력적으로 보여서는 안 되고 역시 이 건물을 의미 있는 우상들을 소장하는 일정의 문화적 성전으로 생각하는 세련된 사람들에게도 매력적으로 보여야 했다. - 로버트 맥스웰, "로버트 벤추리와 데니스 스콧 브라우: 로버트 맥스웰과의 인터뷰", 건축 설계625-6, 1992

 

 

우리는 고객이 화가들이 그들의 예술을 위해서 기대하는 원래의 무대와 평행을 이루는 무엇인가를 원한다는 점을 인정했다. 장소에 대한 인식이 중요했다. 또한 미술관 안에서가 아니라 실세계에서 예술품을 보는 것은 흥분되는 일이다. 당신이 누군가의 집에 갔는데 그들은 거실에 유명한 명화가 걸려 있다면, 미술관에서 그것을 보는 것보다 더 놀라운 느낌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런 곳이 바로 실세계이다. 동시에 우리는 미술관이 고도의 안전이 보장되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기관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가 한 일은 미술관에 여기저기 창문을 내는 것이었다. 창문은 당신이 살아 있는 세계의 일부임을 일깨워준다. 또한 방문객은 창문 밖을 내다볼 수 있다. 위대한 그림들을 보면서 경험했던 신비로운 느낌이 실세계에 의해서 중단된 후에는 더욱 신비로워진다. 그것은 극장에서 막간 휴식시간을 가지는 것과 비슷하다. - 로버트 벤투리, 데이비드 보건, 찰스 젱크스, "내셔널 갤러리 - 세인스베리 윙", 건축 설계65-6, 1991

 

 

다음은 프리츠커 상을 수상한 건축가들의 이야기 2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댓글